본문 바로가기
정보/재테크

소득공제와 세액공제의 차이

by by B 2025. 2. 8.
반응형

 

세금에 대해 이야기하면 어렵게 느껴지는 경우가 많지만, 소득공제와 세액공제의 개념만 이해하면 세금이 어떻게 줄어드는지 쉽게 알 수 있습니다. 이번 글에서는 소득공제와 세액공제의 차이를 간단한 예시를 통해 설명하고자 합니다.

1. 소득공제란?

소득공제는 과세 대상이 되는 소득을 줄여주는 제도입니다.

쉽게 말해,  번 돈 중에서 세금을 매길 대상(과세표준)을 낮추는 역할을 합니다.

 

  • 예시
    • 예를 들어, 철수가 1년에 5000만 원을 벌었다고 가정합니다. 그런데 소득공제 항목이 적용되어 500만 원이 공제되었다면, 과세표준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.
      • 공제 전 소득: 5000만 원
      • 소득공제: 500만 원
      • 과세표준: 4500만 원
    • 즉, 세금이 5000만 원이 아니라 4500만 원을 기준으로 계산되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내야 할 세금도 줄어듭니다.
  • 대표적인 소득공제 항목
    • 근로소득공제
    • 보험료 공제
    • 주택청약저축 공제

 

 

2. 세액공제란?

세액공제는 최종적으로 내야 할 세금을 직접 깎아주는 제도입니다.

즉, 세금을 계산한 후 최종적으로 납부해야 할 금액을 줄여주는 방식입니다.

 

  • 예시
    • 철수의 세금을 계산해보니 원래 300만 원을 내야 한다고 가정합니다. 그런데 철수가 기부금을 냈고, 기부금 세액공제를 받아 30만 원이 공제되었다면 최종적으로 내야 할 세금은 다음과 같이 줄어듭니다.
      • 원래 내야 할 세금: 300만 원
      • 세액공제: 30만 원
      • 실제 납부할 세금: 270만 원
    • 이처럼 세액공제는 세금이 결정된 후 직접 차감해주는 방식이므로 납부할 세금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습니다.
  • 대표적인 세액공제 항목
    • 자녀 세액공제 (자녀가 있을 경우)
    • 기부금 세액공제
    • 연금계좌 세액공제
반응형

 

 

3. 소득공제 vs 세액공제, 한눈에 비교!

구분 소득공제 세액공제
개념 세금 부과 대상 소득을 줄임 최종 내야 할 세금에서 금액을 직접 차감
적용 방식 과세표준을 낮춤 계산된 세금에서 직접 공제
예시 근로소득공제, 보험료 공제 등 기부금 세액공제, 자녀 세액공제 등
효과 세율이 높은 사람일수록 절세 효과 큼 모든 사람에게 동일한 공제 효과
  • 정리
    • 소득공제는 세금을 매기는 대상이 되는 소득을 줄여주는 제도입니다.
    • 세액공제는 최종적으로 내야 할 세금에서 일정 금액을 직접 차감해주는 제도입니다.
    • 두 제도를 잘 활용하면 세금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.

 

 

세금이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, 이러한 개념을 이해하면 연말정산이나 세금 신고 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. 앞으로도 유익한 세금 정보를 제공하겠습니다.

 

함께보며 좋은 글 👇

 

금융소득 건강보험료 증가 여부: 직장가입자vs지역가입자

금융소득이 연 2,000만 원을 초과하면 건강보험료 부담이 증가할 수 있으나, 직장가입자와 지역가입자의 적용 방식에는 차이가 있습니다.이에 따라 각 가입 유형별 건강보험료 부과 기준과 영향

knowledge-u.tistory.com

 

 

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자가 되면 증가하는 세금 항목

금융소득이 연 2,000만 원을 초과하면 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이 되며, 종합소득에 합산되어 세금 부담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. 주요 세금 증가 항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. 금융소득 종

knowledge-u.tistory.com

 

반응형